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꿀팁!

명절 제사에 필요한 지방 쓰는 방법 (무료 지방 양식 / 지방 쓰는 법)

by 언쓸 2023. 1. 19.
반응형

 

지방이란?

- 신주가 없을 때 임시로 만드는 위패

 

예전에는 집집마다 조상의 위패(位牌), 즉 신주(神主)를 모신 사당이 있었다. 사당은 조선시대 양반층이 먼저 만들기 시작해서 조선 후기가 되면 각계각층으로 일반화되었다. 가난한 사람들도 집안 한쪽에 간단하게나마 조상의 위패를 모신 자리를 마련하였다. 제사를 지낼 때는 이 위패를 모셔다 지냈다. 그런데, 오늘날은 가정에 사당도 없고 조상의 위패도 없다. 그러니 제사 들을 지낼 때 형편상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임시로 위패를 대신 삼는 것이 바로 지방이다.

- 네이버 지식백과 -

 

지방 쓰는 방법

규격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사용한다.

위치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쓴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는다.

 

지방 예시

사진을 보면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글자로 붙으며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는다.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 비(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된다.

 

학생(學生)은 특별한 관직이 없는 경우를 말하므로 고인 관직에 몸담았던 인물이라면 관직명을 적을 수 있다. 학생 대신 처사(處士)라고도 쓰는데, 18세 미만에 죽은 자는 수재(秀才)라고 쓴다.

 

부군(府君)은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에 사용하며 아랫사람한테는 직접 이름을 쓴다.

 

여자 쪽은 유인(孺人)이라 쓰고 본관 성씨를 이어 쓰는데 사실 유인은 조선시절 외명부의 종9품에 해당하는 명칭이었지만 그냥 벼슬 없는 사람들도 함께 사용하는 단어이다.

- 나무위키 -


증조할아버지(증조부)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顯高祖考學生府君神位)

증조할머니(증조모) 현고조비유인OOO씨신위 (顯高祖妣孺人OOO氏神位)

 

증조할아버지(증조부)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顯曾祖考學生府君神位)

증조할머니(증조모) 현증조비유인OOO씨신위 (顯曾祖妣孺人OOO氏神位)

 

할아버지(조부) 현조고학생부군신위 (顯祖考學生府君神位)

할머니(조모) 현조비유인OOO씨신위 (顯祖妣孺人OOO氏神位)

 

아버지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어머니 현비유인OOO씨신위 (顯妣孺人OOO氏神位)


 

지방 양식 & 출력 사이트

지방쓰는 법을 찾다가 발견한 사이트이다.

"하늘휴"를 통해 쉽게 선택하여 작성과 프린트를 할 수 있다.

 

제사 지방쓰는법, 위패 지방 출력 | 하늘휴(休)

하늘휴(休) 상조에서 제사 지방쓰는법, 위패 지방 출력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합니다. 어디서든 편하게 위패 제사 지방출력 하세요.

jibang.skyhue.kr

 

 

"언쓸"이 직접 만든 지방 양식

언쓸이 만든 엑셀 양식입니다.

필요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받아서 사용하셔도 되나, 오타나 수정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언쓸] 지방 양식.xlsx
0.04MB

반응형

댓글